[기업기상도] 물 들어와 노 젓는 기업 vs 반전 실패해 흐린 기업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코로나 불황이 서서히 걷힐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반도체처럼 없어 못파는 업종도 있는 반면, 아직 힘든 대면서비스 업종도 있는데요.<br /><br />한 주간 호재로 부각됐던 기업, 또 그렇지 못했던 기업, 기업기상도로 살펴보시죠.<br /><br />김종수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한 주 기업뉴스 리뷰 주간 기업기상도입니다.<br /><br />기업들 1분기 성적표 보니 좋아진 기업들이 나빠진 곳보다 많은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그 회복의 성과가 좀 더 퍼지려면 시간이 필요한 것 같은데요.<br /><br />그러면 이번 주 기업기상도 출발합니다.<br /><br />먼저 DB하이텍입니다.<br /><br />반도체 위탁생산 국내 원조인 이 회사, 역대 최대 분기매출 냈습니다.<br /><br />삼성, SK가 다가 아닙니다.<br /><br />반도체 대세 12인치 아닌 8인치 웨이퍼에 주문형 반도체 생산이 주력인 세계 10위 반도체 위탁생산업체인 DB하이텍이 1분기 역대 최대 2,437억원 매출 냈습니다.<br /><br />감가상각비 탓에 줄어든 영업이익이 600억원대, 그래도 이익률 25%네요.<br /><br />미국의 중국 기업 제재 덕에 코로나 이전 재작년 4월부터 100% 가동 중이랍니다.<br /><br />메모리 이어 시스템 반도체도 K바람 기대합니다.<br /><br />다음은 삼성바이오로직스입니다.<br /><br />설왕설래하던 모더나 백신 위탁 생산 확정지었습니다.<br /><br />문재인 대통령 방미 전부터 소문 돌더니 존림 사장이 따라갔고 미국 모더나 코로나19 백신 위탁생산 결론냈죠.<br /><br />SK바이오사이언스의 아스트레제네카, 노바백스 위탁생산 뒤이은 건데요.<br /><br />각국 사재기에 상반기는 물량 좀 달렸지만, 하반기엔 백신 사정 좀 풀릴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각국 코로나 백신 구매가격, 마진은 아무도 모릅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위탁생산도 이익률 50%란 관측 있습니다.<br /><br />이것도 엄청난데, 계속 만들다 보면 우리 백신 개발도 좀 빨라지겠죠?<br /><br />이제 흐린 기업입니다.<br /><br />첫 흐린 기업 제주항공, 티웨이항공 등등 저비용 항공사, LCC들입니다.<br /><br />기대 이하 매출에 적자가 눈덩이입니다.<br /><br />국내선 확충, 무착륙 비행, 갖은 수에도 실적이 예상보다 더 나빴습니다.<br /><br />제주, 티웨이, 진에어, 에어부산 모두 1분기 영업적자가 매출보다 크고 대부분 자본 부분잠식입니다.<br /><br />가장 나은 제주항공 부채비율이 705%입니다.<br /><br />노선 적고 비행기 작아 대한항공처럼 화물로 벌충하기도 어렵습니다.<br /><br />해법은 국제선 재개뿐인데, 해외여행 정상화는 빨라야 내후년에나 가능하죠.<br /><br />이때까지 버틸 수 있을지, 정부 지원 가능할지, LCC업계 상황은 말 그대로 백척간두입니다.<br /><br />이번엔 현대중공업입니다.<br /><br />연이은 사망사고 탓에 제조업체로는 처음 특별근로감독 들어갔습니다.<br /><br />지난 8일 40대 하청노동자 1명이 용접 중 추락사했죠.<br /><br />사망사고, 2월도 있었습니다.<br /><br />이 회사에 5년간 중대재해가 20건에 이릅니다.<br /><br />결국 고용노동부가 감독관, 전문가 40여명 보내 본사까지 특별점검 중입니다.<br /><br />안전상황 다 들여다보겠다는데. 해법 찾을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다만 작업 중지명령은 사고 사흘 뒤, 특별감독은 9일만이란 게 좌고우면하는 것 같아 씁쓸합니다.<br /><br />유사사고 나면 그때는 감독 책임도 철저히 묻는 게 맞을 겁니다.<br /><br />다음은 삼성디스플레이입니다.<br /><br />'무노조 삼성' 포기 1년 만에 파업 위기 불거졌습니다.<br /><br />이 회사 임금협상 결렬됐고 중앙노동위원회 조정도 중지돼 노조가 파업권 확보했습니다.<br /><br />회사는 4.5% 이상 인상 어렵다는데 노조는 6.8% 인상 요구하며 왜 4%대밖에 못 올리는지 근거를 회사가 안준다고 합니다.<br /><br />노조는 첫 가두집회도 가져 파업 분위기 고조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재용 부회장의 무노조 경영 폐기 발표가 1년 됐습니다.<br /><br />삼성은 최근 미래전략실에서 노조 와해 주도했던 부사장 등 임원들 퇴사처리했던데요.<br /><br />이 갈등 어떻게 풀지 지켜보겠습니다.<br /><br />마지막은 농심, 삼양식품 등 라면회사들니다.<br /><br />코로나 사태 극복 조짐 보이자 실적 줄기 시작했습니다.<br /><br />농심 1분기 면류 매출이 15% 이상, 삼양식품 국내 매출이 23% 줄었습니다.<br /><br />양사 모두 영업이익 반토막입니다.<br /><br />다른 상품 비중 큰 오뚜기도 이익 12% 줄었죠.<br /><br />라면 수요가 코로나 사태 터진 작년만 못한데, 밀 같은 원자재값 급등한 탓입니디.<br /><br />라면기업들은 불황에 강해 경기방어주라고 하죠.<br /><br />라면회사들은 안좋지만 경기 살 조짐으로 보고 싶습니다.<br /><br />참고로 농심, 삼양 모두 해외매출은 늘었습니다.<br /><br />뚫을 길은 있습니다.<br /><br />올해 5월엔 큰 산업재해가 유달리 잦습니다.<br /><br />거창한 안전 의무 같은 것은 둘째 쳐놓고요.<br /><br />인구 줄고 일할 사람 없어 위기라면서 안전을 가볍게 여기는 기업은 '지속가능경영'을 말할 자격이 없을 겁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주간 기업기상도였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